728x90

자바스크립트 기본(7) - 형 변환

함수와 연산자의 값을 적절한 자료형으로 변환하는 것을 형 변환(type conversion)이라고 한다.
특정 값을 입력 받거나 제공할 때 자동으로 변하는 것 또는 명시적으로 변환하는 경우 등을 말한다.

1.문자형

alert와 같은 함수는 문자형 자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인자는 문자형이어야 한다.
다른 타입의 자료를 받으면 이를 자동으로 문자로 변환한다.
명시적으로 변환할 때는 String() 함수를 사용하여 원하는 자료를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다.


2.숫자형

숫자형은 사칙연산을 사용하거나 Number() 함수를 실행하여 변환한다.
문자 기반으로 이루어진 form을 통해 자료를 입력받을 경우엔 명시적 형 변환이 필수이다.
숫자 이외의 글자가 들어간 문자열을 숫자형으로 변환하려고 하면 그 결과는 NaN이 된다.

console.log( Number("   123   ") ); // 123
console.log( Number("123z") );      // NaN ("z"를 숫자로 변환하는 데 실패함)
console.log( Number(true) );        // 1
console.log( Number(false) );       // 0
console.log( Number(null) );        // 0
console.log( Number(undefined) );   // NaN

기본적인 예시는 위와 같다


3.불린형

불린형의로의 변환은 Boolean()함수를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규칙은 아래와 같다.

  • 숫자 0, 빈 문자열, null, undefined, NaN과 같이 비어있는 값은 false
  • 그 외의 값은 true

주의할 점은 일부 언어와 달리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열 "0"true라는 것이다.
또한 이전에 작성했듯 비어있는 리스트([]) 역시 자바스크립트에서는 true값을 나타낸다.
언어들마다 이러한 요소마다 차이가 있다는 점을 알아두고 확인 후 사용하자.

728x90

+ Recent posts